본문 바로가기
생활 민원 & 증명서 발급

병적증명서 발급 방법 총정리 (인터넷, 방문, 모바일까지)

by 이가타 2025. 4. 24.

🎖 병적증명서 발급 방법 총정리 (인터넷, 방문, 모바일까지)

군 복무 사실을 증명해야 할 때 꼭 필요한 서류,
바로 병적증명서입니다.

입사 지원, 해외 이민, 공공기관 서류제출 등
공식적인 군복무 기록이 필요할 때 요구되는 국방부 발급 공식 문서예요.
이번 글에서 병적증명서 발급 방법을 한 번에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병적증명서란?

군 복무 여부, 입대일자, 전역일자, 계급, 병과 등 복무 이력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.
병무청 또는 정부24를 통해 본인이 직접 발급할 수 있습니다.

  • ✔ 현역, 보충역, 전역, 면제 여부 등 표기
  • ✔ 병역이행 증빙용
  • ✔ 이직, 유학, 이민, 관공서 제출용

🖥️ 온라인 발급 방법 (정부24)

1️⃣ 정부24 접속 → https://www.gov.kr

2️⃣ 검색창에 "병적증명서" 입력

3️⃣ [민원신청] 클릭 후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

4️⃣ 용도 선택, 주민등록번호 입력

5️⃣ 출력용 PDF 즉시 발급

✔ 수수료: 무료
✔ 처리시간: 약 1~3분


📱 모바일 발급 방법

  • 정부24 앱 또는 병무청 앱 사용 가능
  • 로그인 후 민원 메뉴 > 병적증명서 선택
  • **전자증명서 형태(PDF)**로 즉시 확인 및 제출 가능

🏢 방문 발급 방법

1️⃣ 가까운 병무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
2️⃣ 신분증 지참 후 신청서 작성
3️⃣ 현장에서 즉시 출력 가능

✔ 평일 오전에 가면 대기시간 짧음
✔ 전역한 지 오래되어도 발급 가능!


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병역을 면제받은 경우에도 발급 가능한가요?
→ 네. 병역 면제자도 병적기록이 있으므로 발급 가능합니다.

Q. 군복무 중인데도 발급되나요?
→ 복무 중에는 복무확인서를 대신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Q. 본인 외 대리인 신청도 되나요?
→ 온라인은 본인만 가능, 방문은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 필요


🏁 정리 요약

구분방법필요사항수수료
온라인 정부24, 병무청 앱 인증서 무료
모바일 정부24 앱 공동인증 or 간편인증 무료
방문 병무청, 주민센터 신분증 지참 무료